
맥북에서 라즈베리파이4 OS 설치하기 2025 최신가이드!
맥북 라즈베리파이 OS 설치를 처음 해보는 사람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이 가이드를 준비해 봤습니다 :)
라즈베리파이 4를 활용하면 리눅스 서버, IoT, 미디어 센터 등,
아주아주 활용처가 무궁무진하져
하지만 OS 설치 과정이 처음이라면 복잡하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그치만 최대한 자세하게 설명해볼테니 천천히 따라해 보시길~~~~
맥북에서 라즈베리파이 OS 설치를 하는 방법은 예전에 비하면 매우매우매우 편해졌죠
특히 라즈베리파이 세팅을 귀찮게 만들었던 모든 준비과정이 사라졌습니다
예전이라면....
HDMI케이블 준비하고...마우스 키보드 준비하고...모니터 준비하고...
이제이런거 없어도 쌉가능!!
SD카드에 OS구울때, 옵션에서
Wi-Fi 및 SSH를 미리 설정하면 모니터 & 키보드 없이도 원격 접속이 가능하므로,
훨씬 편리해졌당 ㅋㅋ

1. 필수 준비물 체크
라즈베리파이 4를 세팅하려면 몇 가지 기본 장비가 필요하다.
필수 하드웨어
- 라즈베리파이 4 (4GB 이상 추천)
- MicroSD 카드 (최소 16GB, Class 10 이상)
- MicroSD 카드 리더기 (맥북에 SD 슬롯 없으면 USB-C 어댑터 필요)
- USB-C 전원 어댑터 (5V 3A 이상, 안정적인 전력 공급 필요)
필수 소프트웨어
- Raspberry Pi Imager – 공식 설치 프로그램 (다운로드)
- 맥북 터미널 – SSH 접속 시 필요
- Balena Etcher – 대체 프로그램 (Imager가 더 편리함)
2. 맥북으로 라즈베리파이 OS 설치(Raspberry Pi OS) 다운로드 & SD 카드에 굽기
1) Raspberry Pi OS 다운로드
먼저, 공식 사이트에서 맥북 라즈베리파이 OS 설치를 위해 Raspberry Pi OS를 다운로드한다.
- Download for macOS 클릭!
2) Raspberry Pi Imager로 SD 카드에 OS 굽기
- Raspberry Pi Imager 실행
- ‘Choose OS’ → ‘Raspberry Pi OS (64-bit)’ 선택
- ‘Choose Storage’ → MicroSD 카드 선택
3) Wi-Fi & SSH 자동 설정
맥북 라즈베리파이 OS 설치 후 별도의 네트워크 설정 없이 바로 SSH 접속하려면, SD 카드에 Wi-Fi 정보와 SSH 활성화 설정을 추가해야 한다.
- Raspberry Pi Imager에서 ‘Advanced options(고급 옵션)’ 클릭
- ‘Set hostname’ → raspberrypi.local (기본값 유지 가능)
- ‘Configure wireless LAN’ → Wi-Fi SSID & 비밀번호 입력 (내가 사용하는 와이파이SSID)
- ‘Set locale settings’ → ‘Asia/Seoul’ 선택 (시간대 설정)
- ‘Enable SSH’ 체크 → ‘Use password authentication’ 선택
- 사용자명 & 비밀번호 설정 (기본값: pi / raspberry, 보안 강화를 위해 변경 추천)
- ‘Write’ 버튼 클릭 → SD 카드에 OS 굽기 시작
이제 SD 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삽입하고 전원을 연결하면 자동으로 SSH 접속이 가능하다.
3. 라즈베리파이 부팅 & 내부 IP 확인 후 SSH 접속
1) 라즈베리파이 전원 연결
- SD 카드 삽입
- USB-C 전원 연결 (전원 버튼 없음 → 자동 부팅됨)
공유기에서 내 라즈베리파이를 찾을 때까지 한 1-2분 기다려주세용
2) 공유기에서 라즈베리파이 내부 IP 찾기
Wi-Fi로 연결된 라즈베리파이의 IP 주소를 찾으려면 IPTIME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를 이용하면 된다.
- 맥북에서 웹 브라우저를 열고 192.168.0.1 접속
- 공유기 관리자 계정 로그인 (기본 ID/PW: admin/admin, 변경했으면 입력)
- "DHCP 클라이언트 목록" 또는 "네트워크 장치" 메뉴에서 raspberrypi 라는 장치를 찾기
- IP 주소 확인 (예: 192.168.0.100)
3) SSH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
IP를 찾았다면, 이제 SSH로 접속하면 된다.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 입력:
(위 IP는 예제이며, 실제로 확인한 IP를 사용해야 한다.)
이제 SSH로 접속하여 라즈베리파이를 원격 조작할 수 있다.
4. 부팅 후 필수 설정 (보안 & 성능 최적화)
1) 패키지 업데이트
설치 후 최신 패키지 업데이트를 적용하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2) VNC 활성화 (원격 데스크톱 접속용, 선택 사항)
- Interface Options → VNC → Enable
3) 기본 사용자 계정 변경 (보안 강화)
sudo usermod -aG sudo myuser
기본 계정(pi) 대신 새로운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것이 좋다.
5. 마무리 & 다음 단계
이제 맥북 라즈베리파이 OS 설치 과정이 완료되었고, SSH 원격 접속도 가능해졌다.
앞으로 이걸 활용해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다.
맥북으로 라즈베리파이 OS 설치하는게 정말 어렵지 않아진것 같다
예전처럼 모니터, 키보드 연결해서 삽질하는 거랑 비교하면 개편함.
그런데 라즈베리파이로 할 수 있는 게 이게 끝이 아니다.
예전에 라즈베리파이 3로 콘솔 게임기를 만들어서 동생이랑
버블버블, 스노우브라더스 잼나게 했었다 ㅋㅋㅋ
나중에 레트로파이 만드는 방법도 글로 한 번 정리해봐야겠다.
(레트로파이 세팅부터 조이패드 연결까지 싹 다 정리 예정! 기대해 주세요 🤙)
막상 오랜만에 다시 라즈베리파이에 OS 설치하긴 했지만
활용처를 어떻게 잡을지는 아직 고민중이다.
Plex는 이미 다른 서버에서 구동중이고,
OpenmediaVault 사용하기엔 이미 너무 많은 클라우드를 사용중이여서...

공유기에 야무지게 연결해서 첫 화면 띄웠을때 너무 신났었던 기억이난다
그다음엔 워드프레스도 올렸었지만, 일기장으로만 쓰다가 SD카드 포맷행,,,,
정작 블로그는 티스토리로 하는중 ㅋㅋㅋㅋ
자, OS 설치 완료된 라즈베리파이4 !
어떤 활용처로 만들어볼지 댓글남겨주시면 그걸로 도전해보겠습니다 ㅋㅋㅋ
'너굴우굴의 IT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GCP에 eve-ng 설치해서 네트워크 실습해보기(Dell 스위치 이미지) (3) | 2024.07.22 |
---|---|
iptime 공유기 설치방법! 아무것도 몰라도 이 글만 보면 다 설치 가능합니다. 어렵지 않은 와이파이 설치 방법. 따라해보세요^^ (3) | 2024.02.15 |
chat GPT와 구글 ai gemini 비교 (4) | 2024.02.13 |